성전환수술관광
성전환수술이란 한 개인의 외모와 성적인 특성을 수술을 통해 반대의 성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수술은 얼굴성형, 가슴성형, 생식기성형 등 다양한 수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성전환수술관광이란 이런 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나라로 여행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성별 정체성 장애란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과 정신적으로 추구하는 성별이 다른 상태를 의미한다. 이들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 트렌스젠더 건강을 위한 세계전문가협회"가 1978년에 만들어졌으며, 현재 300명의 의사, 심리학자, 사회과학자 등이 연구와 치료활동을 하고 있다. 이 협회는 1979년 진료지침을 제시하였는데, 성전환수술을 받기 위해서는 이 수술이 필요한지에 대한 자격평가 과정을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성전환수술은 미국, 영국, 호주 등의 서구세계 뿐만 아니라 인도, 이란, 브라질 등 다양한 나라에서도 합법적으로 시술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허브로 부각된 나라는 태국이다. 태국에서는 1970년대에 성전환수술이 처음 시도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하였다. 현재 태국에는 8개 정도의 성전환전문 클리닉이 외국인을 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파타야 지역의 클리닉은 매년 220명의 트렌스젠더에게 성전환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많은 트렌스젠더가 몰려들어 수술을 받기 때문에, 클리닉에서 이들은 공동체 의식을 갖게 되고 보다 편안한 환경을 경험하게 된다. 2000년대 들어서 클리닉들은 그동안 쌓아 온 명성에 힘입어 수술비를 올리고 특화된 고가시장으로 포지셔닝하고 있다.
낙태
낙태는 자연분만하기 전에 자궁의 태아를 인공적으로 제거하는 행위로서, 약이나 수술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낙태를 반대하는 주장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태아가 하나의 생명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술을 살인 행위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낙태 시술 후 산모가 경험할 부작용과 후유증의 심각성이 크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낙태를 찬성하는 의견은 원하지 않거나 계획되지 않은 임신을 종료할 수 있는 궁극적인 의사결정을 여성이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유럽에서는 대부분 낙태를 인정하고 있지만, 독일, 폴란드, 아일랜드 등에서는 낙태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낙태에 따른 사회적 낙인이 심하다. 낙태를 원하는 사람은 주로 영국, 스웨덴, 스페인 등으로 이동을 한다. 최소한 31,000명의 폴란드 여성이 영국에서 낙태를 했다는 보고도 있다.
대리출산
대리출산은 부부의 의뢰를 받아 제3의 여성에게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거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및 출산케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대리출산은 여성이 불임이거나, 임신출산이 위험한 신체적 상태일 경우, 혹은 동성애자일 경우 이루어진다.
대리출산 방법은 다양하다. 부인의 몸에서 꺼낸 난자를 남편의 정자와 체외수정 시킨 후 이 수정란을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해 임신하게 할 수도 있고, 불임인 부인 대신에 대리모의 난자에 남편의 정자를 인공수정시켜 임신하게 할 수도 있다.
동성애자가 아이를 원할 경우는 모르는 사람들의 난자와 정자를 체외수정시킨 후의 수정란을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해 임신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대리출산은 무료로 해주는 이타적 대리출산과 돈은 받고 해주는 상업적 대리출산으로 나눌 수 있다. 대리출산 자체를 불법으로 간주하는 국가가 있는 반면에, 상업적 대리출산만을 불법으로 간주하는 나라가 있다.
대리출산을 불법으로 보는 시각은 대리출산모가 주로 가난한 여성으로서 결국 신체의 상품화 과정에서 희생자가 되는 것이고 대리출산아도 결국에는 사회심리적인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자국에서 불법인 대리출산을 해외에서 했을 경우, 유럽의 국가들과 아시아에서 출생아에 대한 여권 발급을 거부하기도 한다. 또한 입국이 허락되어도 시민권이 부여되지 않거나 부모자녀 관계를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매년 500~600건 정도의 대리출산이 이루어진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 중의 절반이 규제가 덜한 미국과 인도에서 이루어지고 하였다. 그러나 2002년도에 인도에서 대리출산이 합법화되고 나서, 2012년까지 1,000개의 대리출산 센터가 인도에 생겨났고, 1년 2,000건의 대리출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의 대리출산 시장 규모는 23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분만관광
새로 태어나는 아기에게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시민권을 얻게 해주기 위해서, 분만을 목적으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행위를 분만관광이라고 한다.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부터 2006년 사이에 외국인이 미국에서 분만한 사례가 53%가 급증하였다. 2006년에 태어난 4,273,225명 중, 부모가 미국 거주자가 아닌 경우는 7,670명이었다. 미국 뉴욕의 럭셔리 호텔은 호텔숙박비, 아기용품, 교통편 등으로 패키지를 구성하여 외국의 임신부들을 상대로 마케팅을 하고 있다.
치과관광
치과관광은 치과치료를 받기 위해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최근에 증가 추세에 있다. 치과치료는 임플란트, 화이트닝, 양악수술 등으로 다양하다. 치과관광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자국에서의 높은 치료비, 오랜 대기시간, 목적지 국가의 경쟁력 있는 의료의 질, 저렴한 여행비용, 인터넷 등이 거론되었다. 헝가리 치과의사들에 대한 서베이 조사를 통해 가격 차이가 치과관광의 주요 요소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치과관광을 추구하게 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단점도 논의되고 있다. 주요 이슈는 후속치료의 책임소재에 대한 것으로서, 외국에서 치과치료를 받은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귀국 후 누가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것이다. 해외에서 치과치료를 받은 5명 환자의 사례를 통해 치과관광에 수반될 수 있는 임상적 리스크를 지적하였다. 치과관광의 주요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국의 환자들은 치과치료를 위해 주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루마니아와 폴란드 등으로 이동하였다. 호주의 환자들은 주로 태국으로 치과관광을 간다. 미국인들은 주로 멕시코, 아르헨티나, 코스타리카, 페루 등으로 치과관광을 가고 있다. 미국과의 접경지역인 멕시코의 멕시칼리 지역은 치과치료의 허브를 지향하고 있는데, 2010년도 한해에만 의료관광 수입이 1,600만 달러에 이른다. 이지역의 치과들은 라스베이거스 같은 미국 접경지역의 치과환자들에게 왕복교통편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멕시코 쪽의 국경검문소에는 의료관광객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는 의료관광객 전용레인을 만들어 놓기까지 하였다. 이를 통해 평상시 2시간 걸리던 국경 통과 시간이 20분대로 줄어들었다.
'의료관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의료관광 SWOT 분석 (0) | 2023.02.07 |
---|---|
생식관광/체외수정/생식체 기증/성별선택 (0) | 2023.02.05 |
성형수술관광 / 비만수술관광 (0) | 2023.02.03 |
줄기세포치료관광 / 장기이식관광 (0) | 2023.02.03 |
의료관광을 방해하는 요인 (0) | 2023.02.02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