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의료 및 요양제도20

대한민국 건강보험제도 Ⅱ 오늘은 대한민국 건강보험제도의 도입과 단계적 확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사회보험으로서의 의료보험을 규정한 법은 1963년에 성립되었지만, 실제로 이러한 제도가 시작된 것은 1977년이다. 이때부터 500인 이상의 큰 사업장이 법에 의해서 의무적으로 직장의료보험 조합을 만들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시범적으로 4개의 피용자 의료보험조합과 7개의 자영업자 의료보험조합이 운영된 바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자발적 조직이었다. 사회보험제도의 시행이라는 역사적인 전기가 마련된 배경에는 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성공적 수행을 통해 경제적 기반이 갖추어진 점, 국민연금제도의 실시 유보로 의료에 있어서의 사회적 보장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 점, 정권 연장을 계속하던 박정희 정부가 정.. 2023. 3. 17.
대한민국 건강보험제도 Ⅰ 국민건강보험제도는 의료제도의 일부로서 의료제도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재원조달의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의료제도의 목표가 국민의 건강수준의 향상이라면, 건강보험제도는 재원의 적절한 조달을 통해서 이러한 최종적인 목표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재원조달은 자금을 징수하는 것만이 아니고, 이를 적절하게 집적해서, 이를 가지고 의료서비스를 잘 구매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요구에 맞는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면 결과적으로 건강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역사는 국민건강보험이 없었던 1977년 7월까지의 기간, 건강보험의 부분 적용 이후 전국민의료보험까지의 1977~1989년, 건강보험 급여의 확장기인 1990~2000년, 그리고 건강보험의 구조 변화기인 20.. 2023. 3. 17.
건강수준과 의료제도의 성과 국민의 건강수준의 향상이 의료제도의 주된 목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다만 어떠한 지표가 국민의 건강수준의 향상을 가장 잘 대변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건강수준의 향상이 얼마만큼 의료제도의 성과에 기인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오늘은 다양한 지표 중에서 건강수준과 관련된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의 위치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1. 사망률 지표 2009년 한국 국민의 남녀 평균 수명은 80.3세로 OECD 국가의 평균인 79.5세를 상회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 50년 사이에 건강수명은 27.9년이 증가하여 OECD 국가 중 가장 높고 OECD의 평균인 11.2년의 2.5배에 달한다. 한국의 평균수명은 소득수준이나 투입되는 의료비 수준 이상의 성과를 보이고.. 2023. 3. 15.
의료의 질에 대한 측정 및 보상 국민건강의 향상이라는 의료제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환자의 요구에 맞는 보건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의료의 질에 대해 적절히 보상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질에 대한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의료의 질을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건강결과에는 임상적 효과 외에도 삶의 질이나 소비자의 만족과 같은 것이 포함되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의료의 질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으며, 느리지만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의 질에 대한 공개는 소비자의 인식을 높이고 환자의 인지된 선택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공급자가 의료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한국에서 병원신임제도는 19.. 202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