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줄기세포치료관광 / 장기이식관광 줄기세포치료관광 줄기세포치료는 질병을 고치기 위하여 손상된 조직에 새로운 세포를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줄기세포는 신체에 주입되었을 때 우리 몸의 손상된 기관을 재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 나눌 수 있다. 배아줄기세포는 인간 생명체가 될 배아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혈액 등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덜하다. 줄기세포치료는 암, 심장질환, 신경계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응용될 수 있다. 세계 줄기세포 시장규모는 2012년 324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 줄기세포치료는 질환별 표준화된 지침이 아직 없고 대규모 임상적 잘도 덜 축적되었기 때문에,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줄기세포치료.. 2023. 2. 3.
의료관광을 방해하는 요인 고객의 구매행위 이면에는 자신이 잘못된 결정을 하지 않을까에 대한 염려와 심리적 기제가 작동한다. 의료관광객이 의사결정을 할 때, 여행이나 의료서비스와 관련하여 염려하는 바가 있으며, 이런 염려가 의사결정 과정을 지체하게 만들거나 심지어 의료관광을 가지 않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염려요인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행과 관련된 염려 관광객은 다른 나라로 여행하면서 자국과 다른 문화를 경험한다. 문화는 사고방식, 삶의 방식, 전통, 언어, 음식 등 여러 가지를 의미하기에, 의료관광객은 외국의 병원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다양한 차이를 경험하게 된다. 호텔, 식당, 쇼핑몰, 거리 등에서 그 나라만의 독특함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따라서 의료관광객은 출국 전부터 목적지 국가의.. 2023. 2. 2.
의료관광 부정적 효과 의료관광이 국가 내 국민과 보건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겠다. 국민 의료관광이 국가 내 국민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지를 네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겠다. 첫째로 의료관광으로 인해서 국민들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형평성의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의료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나라들 간의 경쟁 속에서 국제적인 의료의 민영화가 가속화되고, 이런 과정에서 공공의료의 기능이 약화된다고 주장하였다. 아시아의 민간의료기관들이 높은 수익을 가져오는 외국인환자에게만 집중하는 과정에서 중산층 이하의 자국민들은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게 되고 오직 공공의료기관만을 최종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으로 선택하게 되는 상황에 내몰리게 되는 것이다. 결국 자국민에게 의료서비스 접근의 형평성을 보장할.. 2023. 2. 1.
의료관광의 긍정적 효과 의료관광이 국가에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를 분석하겠다. 여기서는 의료관광이 목적지 국가의 경제, 국민, 보건산업 등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다루겠다. 국가경제 의료관광은 국가에 주요한 외화수입원이 될 수 있다. 한 통계자료에서 의료관광객이 소비하는 돈이 일반 관광객의 2배 이상이라고 하였다.(jorgensen.2007) 한국의 경우, 대형병원의 외국인 입원환자 평균 진료비가 2008년에 1,180만원으로 2007년의 일반 관광객 평균 지출액에 비해서 10배가 되었다.(우봉식,2009)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아시아의 의료관광 국가들은 주로 개발도상국 수준의 국가이기에 외화수입에 따른 재정적 혜택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의료관광은 주로 민간부문의 의료기관들을 통해서 발달해 왔다. 그러나 .. 2023. 2. 1.